[Step]
1. Part. 1에서 작업된 grayscale의 자료형을 half로 변경, /3으로 한것을 *0.333으로 바꿔줌 (속도 향상)
2. c_g값을 grayscale로 변경하는데, half에서 fixed3로 캐스팅(형변환)
3. inspector에서 색이 변하는 위치의 중심점을 잡아줄 vector _Position Properties를 생성해줌 (World기준이 될 것임)
4. 색이 변할 영역의 크기를 정할 Range(0,100) _Radius Properties를 만들어줌
5. 색이 변하는 테두리의 맺음의 정도를 지정해줄 Range(0,100) _Softness Properties를 만들어줌
6. SubShader에 Properties를 받아줄 변수를 만듬
7. _Position은 vector이기 때문에 float4
8. _Radius 는 0-100까지 이기 때문에 half로 생성함
9. _Softness 는 0-100까지 이기 때문에 half로 생성함
'Shad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Uniform (0) | 2018.11.06 |
---|---|
Unity Shader lab 서피스 쉐이더 인풋 구조 (0) | 2018.11.06 |
(예제 / 설명) Spherical Mask Shader Part.1 (0) | 2018.11.05 |
ShaderLab 구문 (Unity) (0) | 2018.11.05 |
Unity3D Shader 방식 (0) | 2018.11.05 |